사용법

  • =REGEXREPLACE([변경할 곳],"\([^)]*\)","")
    • 설명: 정규식으로 괄호 내용을 찾아서 빈 것으로 교체
    • 괄호 찾는 정규식: \([^)]*\)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사용법

  • =JOIN(CHAR(10), [합칠 범위])
    • 설명: 범위의 내용을 합치는 데 합칠 때 새로운 줄을 통해 구분하며 합치세요.
    • CHAR(10): 새로운 줄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5줄 요약

  • 스택 언더플로우(Stack Underflow)는 스택에서 데이터를 삭제하려 할 때, 스택에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삭제를 시도하면 발생하는 오류입니다.
  • 스택 언더플로우는 스택의 최하단 위치까지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.
  • 스택 언더플로우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실수로 인해 발생합니다.
  • 스택 언더플로우가 발생하면,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거나 예기치 않은 동작을 수행하게 됩니다.
  • 스택 언더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, 스택에서 데이터를 삭제하기 전에 스택이 비어있는지 체크하거나, 스택을 사용하기 전에 스택 포인터를 초기화해야 합니다.

추가 내용

경험

  • 아직 없음
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5줄 요약

  • 스택 오버플로우(Stack Overflow)는 스택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초과하여 데이터를 삽입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.
  • 스택은 한정된 크기의 메모리 영역을 사용하므로, 스택에 쌓인 데이터가 일정 크기를 초과하면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합니다.
  • 스택 오버플로우는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실수로 인해 발생하거나 또는 버퍼 오버런(Buffer overrun)과 같은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.
  •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면,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거나 예기치 않은 동작을 수행하게 됩니다.
  • 스택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, 스택의 크기를 적절히 조절하거나, 재귀 함수 등에서 무한히 호출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.

추가 내용

경험

  • 없음
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<무작위 이론 카드>

5줄 요약

  • 스택 포인터(Stack Pointer)는 스택의 가장 위쪽 데이터의 위치를 가리키며, 데이터의 삽입 및 삭제는 스택 포인터를 이용하여 수행됩니다.
  • 데이터를 삽입할 때는 스택 포인터를 먼저 증가시킨 다음, 그 위치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
  • 데이터를 삭제할 때는 스택 포인터를 먼저 감소시킨 다음, 그 위치에 있는 데이터를 반환하거나 삭제합니다.
  • 스택의 맨 위에 있는 데이터를 가리키기 때문에, 스택이 비어있을 때는 스택 포인터는 스택의 가장 아래쪽 주소를 가리키고 있습니다.
  • 스택 포인터는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레지스터에 저장되며, 프로세서가 스택 연산 명령을 실행할 때마다 스택 포인터가 자동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합니다.

경험

  • 아직 없음
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5줄 요약

  • 스택(Stack)은 메모리의 한 영역으로,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입니다.
  • 스택은 후입선출(LIFO, Last In First Out)의 원리에 따라 동작합니다.
  • 함수 호출 시 함수의 지역변수, 매개변수, 반환주소 등의 정보는 스택에 순서대로 저장됩니다.
  • 이렇게 스택에 저장된 정보는 함수가 실행을 마치고 반환되면 스택에서 제거됩니다.
  • 스택에는 데이터를 넣는 작업을 푸시(Push)라고 하고, 데이터를 빼내는 작업을 팝(Pop)이라고 합니다.

경험

  • 프로그래밍 최적화에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이라 무조건 기억해야 합니다.
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1. Extensions에서 Prettier를 검색해서 Prettier - Code Formatter를 설치합니다.

2. Code → Settings → Settings로 설정으로 들어갑니다.

3. save를 검색해서 Editor: Format On Save가 체크 되어 있는 지 확인합니다.

4. 저장하면 태그가 정리되는 지 확인합니다.
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1. 보기 → 명령 팔레트를 선택합니다.

2. 명령 팔레트에 언어 구성으로 통해 나오는 <표시 언어 구성>을 선택합니다.

3. 나온 언어들 중에서 골라주세요.
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완료

https://ryusiin.github.io/programming_theory/

 

프로그래머의 이론리스트

메모리(MEMORY)란? 메모리는 컴퓨터의 저장공간을 의미합니다.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행 되며, 데이터와 코드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. 컴퓨터가 자동으로 데이터를 할당하며,

ryusiin.github.io

Road to 2024

나는 우주에 갈 정도로 충분한가
대천명을 기다릴만큼 진인사 하였는가?

- 이론을 정리하자
- 구조와 스토리를 정리하자
- 경험에서 나온 실물을 기반으로 실력을 상승시키자

왜 이것을 제작하려 하는 가?

  • 이론적 부족함을 해소
    • 자신이 하는 업무가 어떤 것을 하는 지에 대해서도 제대로 모르고 있다.

마감 일정

  • 마감: 2023-02-12
  • 갱신: 2023-02-11

3줄 로드맵

  1. GitHub 프로젝트 제작 및 GitHub Pages를 제작한다.
  2. 1분마다 카드의 색깔과 글이 바뀌는 프로그래밍을 제작한다.
  3. 기본 카드를 입력한다.

실행하기 전 참고사항

  • JSON으로 관리
  • 우선 제작 후 실사용에서 문제가 없는 지 확인한다.
  • 추가적으로 음성 재생을 위해 WeMakeVoice를 사용한다.

실행

  1. GitHub 프로젝트 제작 및 GitHub Pages를 제작한다.
  2. 1분마다 카드의 색깔과 글이 바뀌는 프로그래밍을 제작한다.
  3. 카드를 입력한다.

추후 생각해볼 것

  • GitHub Pages의 조회수 확인하는 방법?
  • GitHub Pages에 광고를 넣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?

'Road To 2024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My Adventure  (0) 2023.02.20
4. 차라시 유니버스 로드맵  (0) 2023.02.20
2. 차라시 프로젝트: 퍼즐  (0) 2023.02.10
[완료] 1. 블로그 내 이론 리스트 배너 제작  (0) 2023.02.10
블로그 이미지

RIsN

,

5줄 요약

  • 프로그래밍에서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고 쓰는 데 사용 되는 주요 자원으로 컴퓨터 내부에 위치하며,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RAM(Random Access Memory)이 메모리로 사용됩니다.
  • 프로그래밍에서 메모리는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뉩니다. 
  • 데이터(Data) 영역은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전역 변수(Global Variable)나 정적 변수(Static Variable)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입니다. 
  • 코드(Code) 영역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영역이며, 메모리의 주소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없습니다.
  • 프로그래밍에서 메모리는 중요한 자원 중 하나이므로, 메모리 할당과 해제를 적절히 관리하여 메모리 누수(Memory Leak)와 같은 문제를 방지해야 합니다.

경험

  • 프로그래밍 최적화에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이라 무조건 기억해야 합니다.

블로그 이미지

RIsN

,